암정보

크루켄버그 종양의 모든 것, 난소에 있지만 난소암이 아닌 특별한 종양

뭉치2020 2025. 4. 23. 01:14

크루켄버그 종양의 모든 것, 난소에 있지만 난소암이 아닌 특별한 종양

크루켄버그 종양이란?

크루켄버그 종양은 난소에서 발견되는 종양이지만 난소에서 기원한 암이 아닌, 다른 장기에서 발생한 암이 난소로 전이된 특수한 형태의 전이성 종양입니다. 1896년 독일의 병리학자 프리드리히 크루켄버그(Friedrich Krukenberg)가 처음 보고한 이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이 종양은 조직학적으로 점액을 분비하는 인환세포(signet ring cell)가 난소 간질에 침투해 있는 특징적인 모습을 보입니다. 전체 난소 종양의 약 1~3%를 차지하는 비교적 드문 종양으로, 주로 위장관(특히 위와 대장)에서 발생한 암이 난소로 전이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크루켄버그 종양의 특징

원발 부위와 발생 빈도

크루켄버그 종양의 원발 부위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동양, 특히 한국과 일본에서는 위암이 원발 부위인 경우가 약 90%로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반면 서양에서는 대장이나 직장에서 기원한 경우가 더 흔합니다. 그 외에도 유방, 담도, 췌장 등에서 발생한 암이 난소로 전이되어 크루켄버그 종양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발생 연령

크루켄버그 종양은 주로 40대 전후의 폐경 전 여성에게 호발합니다. 이는 일반적인 난소암보다 약 10년 정도 이른 나이에 발생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환자의 약 70%가 폐경 전 여성이며, 이는 폐경 전 여성의 난소가 혈관이 풍부하고 반복되는 배란 과정으로 인해 난소 표면에 상처가 생겨 암세포의 전이가 용이해지기 때문으로 추측됩니다.

임상 증상

크루켄버그 종양 환자들이 가장 흔하게 호소하는 증상은 하복부 종괴와 하복부 통증입니다. 약 46%의 환자가 하복부 종괴를 주 증상으로 호소하며, 21%는 하복부 통증을 경험합니다. 그 외에도 상복부 통증, 부정자궁출혈, 복부팽만감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드물게는 배뇨장애가 주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부 환자는 증상 없이 정기 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되기도 합니다.

양측성 발생

크루켄버그 종양은 약 80%에서 양측 난소를 침범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원발 병소의 암이 림프계나 혈관계를 통해 난소로 전이되기 때문입니다. 일측성인 경우에는 좌측 난소가 우측보다 더 많이 침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크루켄버그 종양과 난소암의 차이

난소에 종양이 있다고 해서 모두 난소암은 아닙니다. 이는 환자와 보호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는 부분입니다. 암의 종류는 암세포가 발견된 위치가 아니라 암세포가 기원한 장소에 따라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폐암이 뼈로 전이되어도 그것은 '뼈암'이 아니라 '뼈로 전이된 폐암'입니다. 마찬가지로 위암이 난소로 전이되면 그것은 '난소암'이 아니라 '난소로 전이된 위암', 즉 크루켄버그 종양입니다.

이러한 구분은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각 암종마다 효과적인 항암제와 치료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난소암에 효과적인 항암제가 위암이나 대장암에는 효과가 없을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크루켄버그 종양으로 진단된 환자는 난소암 센터가 아닌 원발 부위에 따라 위암 센터나 대장암 센터에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크루켄버그 종양의 진단

크루켄버그 종양의 진단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1. 임상 증상 평가: 하복부 종괴, 통증, 복부 팽만감 등의 증상 확인
  2. 영상 검사: 초음파, CT, MRI 등을 통해 난소 종양의 존재와 특성 확인
  3. 종양 표지자 검사: CA-125, CEA, CA 19-9 등의 혈액 검사
  4. 내시경 검사: 위내시경, 대장내시경 등을 통한 원발 부위 확인
  5. 조직 검사: 최종적으로 조직 검사를 통해 점액성 인환세포의 존재 확인

진단 기준은 1938년 Novak과 Gray가 제시한 기준이 널리 사용되며, 난소에 종양이 있고 세포 내 점액으로 인한 특징적인 인환세포(signet ring cell)의 형태가 관찰되며, 난소 간질의 미만성 침윤으로 인해 육종성 양상을 보일 경우 크루켄버그 종양으로 진단합니다.

크루켄버그 종양의 전이 경로

크루켄버그 종양이 난소로 전이되는 경로는 다양합니다.

  1. 림프계를 통한 전이: 가장 흔한 경로로, 원발 종양의 림프관을 통해 암세포가 난소로 이동
  2. 혈관계를 통한 전이: 혈액 순환을 통해 암세포가 난소로 전파
  3. 복수를 통한 전이: 복강 내 체액을 통해 난소 표면으로 암세포가 이동
  4. 직접 전이: 인접 장기의 암이 직접 난소로 침범

크루켄버그 종양의 예후와 치료

크루켄버그 종양은 일반적으로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이는 이미 다른 장기로 전이가 일어난 진행성 암이라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환자가 진단 후 1년 이내에 사망하며, 5년 생존율은 매우 낮습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적극적인 치료 접근법이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술적 치료

원발 병소와 전이된 난소 종양을 모두 제거하는 것이 기본적인 치료 방법입니다. 특히 복막 전이 없이 난소에만 국한된 크루켄버그 종양의 경우, 완전 절제 시 생존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이시성(원발 종양 치료 후 나중에 발생한) 크루켄버그 종양을 완전 절제한 경우 중앙 생존기간이 20개월로, 복막 전이를 동반한 경우의 7개월보다 훨씬 길었습니다.

항암화학요법

수술 후 원발 종양의 종류에 맞는 항암제를 사용한 보조 화학요법이 시행됩니다. 위암 기원의 크루켄버그 종양의 경우 5-FU, cisplatin, taxol 등의 항암제가 주로 사용됩니다.

표적 치료

최근에는 원발 종양의 특성에 따른 표적 치료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HER2 양성 위암의 경우 트라스투주맙(Trastuzumab)과 같은 표적 치료제가 효과를 보일 수 있습니다.

결론

크루켄버그 종양은 난소에서 발견되지만 난소에서 기원한 암이 아닌, 주로 위나 대장에서 발생한 암이 난소로 전이된 특수한 형태의 종양입니다. 이 종양은 주로 40대 전후의 폐경 전 여성에게 호발하며, 양측 난소를 침범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진단과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은 이것이 난소암이 아니라 전이성 암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크루켄버그 종양으로 진단된 환자는 원발 부위에 따라 적절한 전문 센터에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비록 예후가 좋지 않은 질환이지만, 조기 발견과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위험 요인이 있는 여성들은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크루켄버그 종양은 왜 난소암이 아닌가요?
A. 크루켄버그 종양은 난소에서 발견되지만, 난소 자체에서 발생한 암이 아니라 다른 장기(주로 위나 대장)에서 발생한 암세포가 난소로 전이된 것입니다. 암의 종류는 암세포가 처음 발생한 장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Q. 크루켄버그 종양은 주로 어떤 연령대에서 발생하나요?
A. 주로 40대 전후의 폐경 전 여성에게 흔하게 발생합니다. 이는 일반적인 난소암보다 약 10년 정도 이른 나이에 발생하는 특징입니다.

Q. 크루켄버그 종양의 일반적인 증상은 무엇인가요?
A. 가장 흔한 증상은 하복부 종괴와 하복부 통증입니다. 그 외에 상복부 통증, 부정자궁출혈, 복부팽만감, 배뇨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증상 없이 정기 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되기도 합니다.

Q. 크루켄버그 종양 진단 후 치료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난소암과 치료법이 다른가요?
A. 크루켄버그 종양은 원발 부위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집니다. 난소암 센터가 아닌, 원발암(예: 위암, 대장암) 전문 센터에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기본적인 치료는 원발 병소와 전이된 난소 종양을 모두 제거하는 수술이며, 이후 원발 종양의 종류에 맞는 항암 화학요법이나 표적 치료가 시행될 수 있습니다.

Q. 크루켄버그 종양의 예후는 어떤가요? 생존율을 높이는 방법이 있나요?
A. 크루켄버그 종양은 일반적으로 예후가 좋지 않지만,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수술적 절제를 통해 종양을 최대한 제거하고, 원발암에 맞는 항암 화학요법 및 표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기 발견과 적극적인 치료가 생존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