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정보

맥락막흑색종의 이해, 눈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

뭉치2020 2025. 4. 27. 01:30

맥락막흑색종의 이해, 눈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

맥락막흑색종이란?

맥락막흑색종은 눈 안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악성 종양 중 하나로, 안구의 중간층인 맥락막에서 발생하는 암입니다. 안구는 크게 세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가장 바깥층은 공막, 중간층은 맥락막, 그리고 가장 안쪽층은 망막입니다. 맥락막은 혈관이 풍부한 조직으로 눈에 영양을 공급하고 망막을 지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맥락막흑색종은 이 맥락막에 있는 색소 분비 세포(멜라닌 세포)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피부 외에서 발생하는 흑색종의 대부분이 안구에서 발생하며, 그중에서도 맥락막에서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안구 흑색종은 발생 위치에 따라 맥락막, 모양체, 홍채 순으로 발생 빈도가 높으며, 맥락막흑색종과 모양체 흑색종은 홍채 흑색종에 비해 예후가 좋지 않은 편입니다. 맥락막흑색종은 치명적일 수 있는 안 질환으로,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맥락막흑색종의 유형과 분류

맥락막흑색종은 세포의 모양과 성질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이러한 분류는 생물학적 특성과 예후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분류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방추형(Spindle cell type): 세부적으로 A형과 B형으로 나뉘며, 예후가 가장 좋은 유형입니다.
  2. 상피양세포형(Epithelioid cell type): 예후가 좋지 않은 유형입니다.
  3. 혼합형(Mixed type): 방추형과 상피양세포형이 혼합된 형태로, 가장 흔하게 나타납니다.
  4. 괴사형(Necrotic type): 세포가 괴사된 형태로,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이 중 혼합형이 가장 많이 발견되며, 예후는 방추형이 가장 좋고 상피양세포형이나 괴사형은 상대적으로 나쁜 편입니다. 이러한 분류는 치료 방법을 결정하고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맥락막흑색종의 원인과 위험 요소

맥락막흑색종의 정확한 원인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몇 가지 위험 요소가 알려져 있습니다.

주요 위험 요소

  • 과도한 자외선 노출: 가장 중요한 환경적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피부 태닝 기구에서의 자외선 노출은 맥락막흑색종 발생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 유전적 요인: 맥락막흑색종의 유전적 발생은 드물지만, 일부 사례에서는 유전적 소인이 관련될 수 있습니다.
  • 인종적 요소: 백인에게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흑인은 백인의 약 1/8, 동양인은 백인의 약 1/3 정도의 유병률을 보입니다.

기타 가능한 요인

  • 임신 관련 호르몬: 일부 연구에서는 임신을 유지하는 호르몬이 맥락막흑색종의 발생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제시합니다.
  • 다른 장기의 악성 종양: 다른 장기에 있는 악성 종양이 맥락막흑색종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바이러스 감염 및 외상: 일부 연구에서는 바이러스 감염이나 눈의 외상이 맥락막흑색종의 발생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제시합니다.

맥락막흑색종의 증상

맥락막흑색종은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어 발견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종양이 커지면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초기 증상

  • 비문증: 눈앞에 먼지나 벌레 등이 떠다니는 것처럼 느껴지는 현상
  • 시력 저하: 종양이 망막에 영향을 미치면서 시력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 시야 장애: 시야의 일부가 가려지거나 흐려질 수 있습니다
  • 광시증: 눈 속에서 불꽃이나 빛이 번쩍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

진행된 증상

  • 망막 박리: 종양이 커지면서 망막이 분리될 수 있습니다
  • 망막 부종: 망막에 부종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충혈 및 통증: 종양이 더 커지면 눈의 충혈과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시야를 가로막는 베일 또는 커튼 같은 느낌: 망막 박리가 진행되면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맥락막흑색종이 특히 커지면 안와 내부로 확장되거나 혈류를 통해 신체의 다른 부위로 전이되어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안과 전문의의 진찰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맥락막흑색종의 진단

맥락막흑색종의 진단은 다른 종양과는 달리 조직검사에 의존하지 않습니다. 이는 조직검사 과정에서 시력 감소가 생기거나 종양이 다른 부위로 전파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대신 다음과 같은 검사 방법을 통해 진단이 이루어집니다.

주요 진단 방법

  • 도상 검안경 검사: 맥락막흑색종 진단에 가장 중요한 검사로, 동공을 확장시키고 육안으로 관찰합니다. 전형적인 맥락막흑색종은 색소가 침착되고 삼출성 망막 박리가 동반된 돔이나 칼라 단추 모양의 종괴로 나타납니다. 상층 망막 색소 상피층에 오렌지 색소 침착이 약 50% 이상에서 관찰될 수 있습니다.
  • 초음파 검사: 안내 종양 진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종양의 크기와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작은 안종양의 경우 연속적인 검사를 통해 종양의 성장을 관찰하는 데 유용합니다.
  • 기타 검사: 필요에 따라 형광안저혈관조영술, 안구 CT, MRI 등의 추가 검사가 시행될 수 있습니다.

작은 종양은 더 쉽게 치료할 수 있으므로, 맥락막흑색종의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좋습니다.

맥락막흑색종의 치료

맥락막흑색종의 치료는 종양의 크기, 위치,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주요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안구 제거술(Enucleation)

종양이 전신으로 퍼지지 않았을 때 시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안구를 완전히 제거하는 수술입니다. 전신 마취 또는 국소 마취 상태에서 1~2시간 정도 소요되며, 안구가 제거된 공간에는 구 모양의 삽입물을 넣습니다. 시력을 잃는다는 단점이 있지만, 효과가 가장 확실한 치료법입니다. 수술 후 1주일 정도 지나면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합니다.

방사선 치료

안구와 시력을 보존한다는 측면에서 유효한 치료법으로,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근접 조사(Brachytherapy): 수술을 통해 종양이 있는 안구 근처에 방사성 물질을 고정하는 방법입니다.
  • 외부 조사(External beam radiation): 양성자나 헬륨 이온 등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법입니다. 특히 양성자 치료는 안구 정도의 깊이에 충분한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고, 경계가 분명하여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방사선 치료는 주로 종양의 크기가 중간 이하일 때 시행하며, 이 경우 안구 제거술과 성적이 거의 동일합니다. 최근에는 안구를 보존하는 방사선 치료가 더 선호되는 추세입니다.

레이저 치료

작은 종양의 경우, 레이저를 이용한 치료도 가능합니다. 이 방법은 시력을 유지하고 눈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맥락막흑색종의 예후와 관리

맥락막흑색종의 예후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전체적으로 5년 내 치사율이 35%, 10년 내 치사율이 50% 정도입니다.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세포 형태: 방추형이 가장 예후가 좋고, 상피양이나 괴사형은 예후가 나쁩니다.
  • 색소 침착 정도
  • 종양의 크기
  • 공막 침범 여부
  • 세포 분열 정도
  • 종양의 앞부분 위치와 시신경 침범 유무

맥락막흑색종 치료 후에는 전이에 대한 관찰이 매우 중요합니다. 주로 전이되는 부위는 간이나 폐이며, 일부에서는 뼈나 머리, 피부로도 전이될 수 있습니다. 치료 종료 후 6개월에서 1년 간격으로 혈액 검사, 초음파, CT 등을 통해 간 검사를 시행하고, 단순흉부촬영으로 폐 검사를 시행합니다. 처음 5년까지는 자주 검사하고, 그 이후에는 1년에 한 번 정도 검사하는 것이 적당합니다.

전이가 발견되면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게 되지만, 안타깝게도 그 성적은 좋지 않은 편입니다.

맥락막흑색종의 예방과 조기 발견

맥락막흑색종의 예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자외선 노출 제한: 과도한 자외선 노출을 피하고, 야외 활동 시 선글라스 착용
  • 정기적인 안과 검진: 1-2년에 한 번씩은 안과적 검사(시력과 굴절 검사, 안압 검사, 세극등 현미경 검사, 안저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위험 요소 인지: 자신의 위험 요소를 인지하고,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의사와 상담

맥락막흑색종은 조기에 발견하면 치료 성공률이 높아지므로, 정기적인 안과 검진과 이상 증상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중요합니다.

맺음말

맥락막흑색종은 눈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악성 종양으로,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어 발견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한 조기 진단이 필수적입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안구 제거술, 방사선 치료, 레이저 치료 등이 있으며, 종양의 크기와 위치,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치료 후에는 전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맥락막흑색종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통해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맥락막흑색종은 왜 조직 검사를 하지 않고 진단하나요?
A. 맥락막흑색종 조직 검사는 시력 감소를 유발하거나 종양을 다른 부위로 전파시킬 위험이 있어 일반적으로 시행하지 않습니다. 대신 도상 검안경 검사, 초음파 검사, 형광안저혈관조영술, 안구 CT, MRI 등을 통해 진단합니다.

Q. 맥락막흑색종의 가장 흔한 유형은 무엇이며, 예후는 어떤가요?
A. 가장 흔한 유형은 방추형과 상피양세포형이 혼합된 혼합형입니다. 예후는 세포 형태에 따라 다른데, 방추형이 가장 좋고 상피양세포형이나 괴사형은 상대적으로 나쁜 편입니다.

Q. 맥락막흑색종 치료 후 전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어떤 검사를 얼마나 자주 받아야 하나요?
A. 치료 종료 후 6개월에서 1년 간격으로 혈액 검사, 초음파, CT 등을 통해 간 검사를 시행하고, 단순흉부촬영으로 폐 검사를 시행합니다. 처음 5년까지는 자주 검사하고, 그 이후에는 1년에 한 번 정도 검사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Q. 맥락막흑색종의 주요 위험 요인은 무엇인가요?
A. 주요 위험 요인으로는 과도한 자외선 노출, 유전적 요인, 인종적 요소(백인에게서 가장 흔함) 등이 있습니다.

Q. 맥락막흑색종의 초기 증상은 무엇인가요?
A. 초기 증상으로는 비문증(눈앞에 먼지나 벌레 등이 떠다니는 것처럼 느껴지는 현상), 시력 저하, 시야 장애, 광시증(눈 속에서 불꽃이나 빛이 번쩍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