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정보

위암에서 보만(Borrmann)병기란 무엇인가요

뭉치2020 2025. 5. 24. 01:02

위암에서 보만(Borrmann)병기란 무엇인가요

위암과 보만(Borrmann)병기의 이해

위암은 위 점막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악성 종양을 형성하는 질환입니다. 위암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암의 형태와 진행 정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중 보만(Borrmann)병기는 진행성 위암을 육안적으로 분류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위암의 형태적 특성을 4가지 또는 5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암의 침윤 양상과 병변의 형태를 평가합니다. 이 분류법은 위암의 임상적 특성과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보만(Borrmann)병기의 정의와 역사

보만병기는 1926년 독일의 병리학자 Borrmann이 제안한 위암의 육안적 분류법입니다. 이 분류는 위암 병변의 융기(돌출), 궤양, 그리고 주위 조직으로의 침윤 양상을 기준으로 4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누며, 일부에서는 5형으로 확장하여 분류하기도 합니다. 보만병기는 주로 진행성 위암에서 적용되며, 암의 형태적 차이를 통해 병리학적 특성과 예후를 예측하는 데 활용됩니다.

보만(Borrmann)병기의 유형별 상세 설명

보만병기는 위암의 형태를 다음과 같이 분류합니다.

  • 제1형 (융기형, Polypoid type) 암이 위 점막에서 돌출되어 국한성으로 자라는 형태입니다. 표면에 명확한 궤양이 없으며, 폴립(용종)과 비슷한 모양을 보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암이 비교적 국한되어 있어 조기 발견 시 치료 예후가 좋을 수 있습니다.
  • 제2형 (궤양형, Ulcerative type) 암 병변이 융기되어 있으면서 표면에 큰 궤양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궤양 주변은 제방(堤防)처럼 융기되어 있고, 암의 침윤은 융기 시작 부위까지 국한됩니다. 이 유형은 궤양성 병변이 뚜렷하여 내시경 관찰 시 특징적인 소견을 보입니다.
  • 제3형 (궤양침윤형, Ulceroinfiltrative type) 궤양이 있으면서 암이 위벽 깊숙이 침윤하는 형태입니다. 궤양 주변 조직에도 암세포가 침윤하여 병변이 넓게 퍼져 있습니다. 이 유형은 진행성 위암에서 흔히 관찰되며, 치료가 더 까다롭습니다.
  • 제4형 (미만성 침윤형, Diffuse infiltrative type) 암세포가 위 점막 아래층과 위벽을 넓게 침윤하여 점막이 두꺼워지고 위벽이 단단해지는 형태입니다. 궤양은 적거나 일부에 국한되어 있으며, 암이 넓게 퍼져 있어 내시경이나 영상검사에서 병변이 명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유형은 ‘경성 위암’ 또는 ‘linitis plastica’라고도 불리며, 조기 진단이 어렵고 예후가 매우 불량합니다.
  • 제5형 (기타형) 위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없는 특이한 형태의 위암을 의미합니다. 드물게 관찰되며, 병변의 형태가 복합적이거나 비전형적인 경우 포함됩니다.
보만형 특징 암의 형태 예시
제1형 융기형, 궤양 없음 국한성 융기성 병변 폴립 모양의 암
제2형 융기 + 궤양, 국한성 큰 궤양과 제방 융기 국소 궤양성 암
제3형 궤양 + 침윤 확산 위벽 침윤성 궤양 궤양침윤형 암
제4형 미만성 침윤, 궤양 적음 점막하층 및 위벽 광범위 침윤 경성 위암, linitis plastica
제5형 기타 비전형적 형태 복합형 또는 특이형 분류 불가형

보만병기의 임상적 의미와 활용

보만병기는 위암의 육안적 형태를 기준으로 하므로 내시경 검사나 수술 중 관찰을 통해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각 유형은 암세포의 침윤 정도와 분포 양상에 따라 예후와 치료 전략에 영향을 미칩니다.

  • 제1형과 제2형은 상대적으로 국한성 병변으로 조기 발견 시 수술적 절제가 가능하며, 예후가 비교적 양호합니다.
  • 제3형은 침윤 범위가 넓어 수술 후 재발 위험이 높고, 보조 항암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제4형은 미만성 침윤으로 조기 진단이 어려우며, 암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어 치료가 어렵고 예후가 매우 나쁩니다. 이 유형은 조직검사에서 암세포가 잘 검출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진단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따라서 보만병기는 위암의 진행 정도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이며, 치료 계획 수립과 예후 예측에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보만병기와 위암 병기(Stage)의 차이

보만병기는 위암의 육안적 형태를 분류하는 방법이고, 위암 병기(stage)는 암의 침윤 깊이(T), 림프절 전이(N), 원격 전이(M)를 종합하여 암의 진행 정도를 평가하는 체계입니다. 병기는 1기부터 4기까지 나뉘며, 숫자가 높을수록 진행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보만병기는 병기 평가에 참고 자료로 활용되지만, 병기 자체를 대체하지는 않습니다.

결론

보만(Borrmann)병기는 진행성 위암을 육안적으로 4~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체계로, 암의 융기와 궤양, 침윤 양상을 기준으로 합니다. 제1형부터 제4형까지 각 유형은 암의 형태와 침윤 범위가 다르며, 예후와 치료 방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미만성 침윤형인 제4형은 진단과 치료가 어려워 예후가 불량한 특징이 있습니다. 보만병기 분류는 위암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에 있어 필수적인 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세우고, 환자에게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보만병기는 위암의 진행 정도를 평가하는 데 어떻게 활용되나요?
A. 보만병기는 위암의 육안적 형태를 기준으로 암세포의 침윤 정도와 분포 양상을 파악하여 예후와 치료 전략 결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각 유형에 따라 수술 가능성, 재발 위험, 항암치료 필요성 등을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Q. 보만병기 제4형(미만성 침윤형)의 특징은 무엇이며, 왜 예후가 불량한가요?
A. 보만병기 제4형은 암세포가 위 점막 아래층과 위벽을 넓게 침윤하여 위벽이 단단해지는 형태입니다. 궤양이 적거나 일부에 국한되어 있으며, 암이 넓게 퍼져 있어 조기 진단이 어렵고, 조직 검사에서 암세포가 잘 검출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치료가 어렵고 예후가 매우 나쁩니다.

Q. 보만병기와 위암 병기(Stage)의 주요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 보만병기는 위암의 육안적 형태를 분류하는 방법이고, 위암 병기는 암의 침윤 깊이(T), 림프절 전이(N), 원격 전이(M)를 종합하여 암의 진행 정도를 평가하는 체계입니다. 보만병기는 병기 평가에 참고 자료로 활용되지만, 병기 자체를 대체하지는 않습니다.

Q. 보만병기 분류 시 내시경 검사 외에 다른 검사 방법도 활용되나요?
A. 보만병기는 주로 내시경 검사나 수술 중 육안 관찰을 통해 구분되지만, 암의 침윤 정도나 범위를 파악하기 위해 CT, MRI 등의 영상 검사가 추가적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보만 4형의 경우 내시경에서 병변이 명확하지 않을 수 있어 영상 검사가 중요합니다.

Q. 보만병기 제5형(기타형)은 어떤 경우에 해당되며, 임상적 중요성은 무엇인가요?
A. 보만병기 제5형은 위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없는 특이한 형태의 위암을 의미합니다. 병변의 형태가 복합적이거나 비전형적인 경우 포함되며, 드물게 관찰됩니다. 임상적으로는 일반적인 보만병기 유형과 다른 치료 접근이 필요할 수 있으며, 예후 예측이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