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정보

한국 담도암 발생현황과 최신 통계 분석

뭉치2020 2025. 2. 8. 23:43

한국 담도암 발생현황과 최신 통계 분석

한국 담도암 발생 현황의 최신 동향

2021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담낭·담도암은 전체 암 발생의 2.7%를 차지하며 국내 암 발병 순위 9위를 기록했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조발생률은 14.8건으로 매년 7,000명 이상의 신규 환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남성 환자(4,085명)가 여성(3,523명)보다 약 1.2배 높은 빈도를 보이며, 특히 70대 환자가 전체의 34.4%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연령대별·성별 특징

70세 이상 고령층이 전체 환자의 64.4%를 차지할 정도로 연령 관련 발병률이 두드러집니다. 60대(24.6%)와 80대 이상(30.0%)에서도 높은 발생률을 보이며, 이는 인구 고령화 추세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습니다. 성별 차이에서는 남성의 흡연율과 음주습관이 위험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국제적 위상과 생존율

한국은 10만 명당 11.64명의 사망률로 세계 1위를 기록하며, 5년 상대 생존율 28.9%로 췌장암(16.5%) 다음으로 낮은 예후를 보입니다. 원격 전이 단계에서의 생존율은 3.2%에 불과해 초기 진단의 중요성이 강조됩니다. 2022년 연구에 따르면 담도암 환자의 70%가 수술 불가능한 진행 단계에서 발견됩니다.

시간에 따른 변화 추이

연도 발생 건수 10만 명당 발생률
2007 4,149 8.4
2021 7,617 14.8
2022 7,848 15.3

최근 15년간 발생률이 82% 증가했으며, 특히 담낭암의 경우 여성 환자 비율이 56.7%로 남성보다 높게 나타나는 독특한 양상을 보입니다.

진단 및 치료 현황

초기 증상이 없는 경우가 80% 이상이며, 황달이나 체중 감소가 나타날 때는 이미 진행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2023년 도입된 면역항암제 병용요법으로 중앙생존기간이 12.8개월에서 25.6개월로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1차 치료 실패 후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제한적인 상황입니다.

Q/A 섹션

Q: 담도암의 주된 위험 인자는 무엇인가요?
B형/C형 간염, 담석, 간흡충 감염이 주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연구에서 당뇨병과 비만도 새로운 위험인자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Q: 지역별 발생 차이가 있나요?
경남 지역이 10만 명당 14.6명으로 전국 최고 발생률을 보이며, 인천(6.5명)과 비교시 2.25배의 지역적 편차를 나타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