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락막 흑색종과 경동공 온열치료의 이해
맥락막 흑색종은 안구 내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원발성 악성 종양으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한 심각한 질환입니다. 이러한 안내종양의 치료 방법 중 하나인 경동공 온열치료(Transpupillary Thermotherapy, TTT)는 동공을 통해 저에너지 다이오드 레이저를 종양에 조사하여 열 손상을 유발하는 치료법입니다. 이 치료법은 특히 크기가 작은 맥락막 흑색종에 효과적인 치료 옵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경동공 온열치료의 원리와 작용 메커니즘
경동공 온열치료는 810nm 파장의 적외선 다이오드 레이저를 사용하여 종양 조직에 열을 가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 치료법은 '저온열 원리'를 이용하여 종양 부위의 온도를 약 45-60°C로 상승시켜 세포 손상을 유발합니다. 레이저 에너지는 주로 망막색소상피와 맥락막의 멜라닌 색소에 흡수되어 열에너지로 변환되며, 이 열이 종양 세포에 직접적인 손상을 일으킵니다. 일반적인 광응고술과 달리 경동공 온열치료는 더 넓은 조사 반점과 긴 노출 시간을 사용하여 신경망막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심부 맥락망막 조직에 선택적으로 작용합니다.
맥락막 흑색종에 대한 경동공 온열치료의 효과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경동공 온열치료는 두께가 4mm 이하인 작은 맥락막 흑색종에서 약 94%의 종양 조절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시신경 디스크와 중심와 근처에 위치한 종양처럼 방사선 치료가 어려운 부위에 효과적입니다. 이 치료법은 종양 부위에 극적인 괴사를 유발하며, 적절히 선택된 작은 맥락막 흑색종에서 높은 종양 제어율을 보입니다. 또한 경동공 온열치료는 방사선 치료의 보조 요법으로도 사용되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치료 대상 선정과 주의사항
맥락막 흑색종에 대한 경동공 온열치료는 모든 환자에게 적합한 것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두께가 4mm 이하이고 크기가 작은 후안부 맥락막 흑색종이 이상적인 대상입니다. 특히 시신경 디스크에서 3mm 이상 떨어져 있고 중심와에서도 적절한 거리에 위치한 종양이 치료에 적합합니다. 치료 성공을 위해서는 적절한 종양 선택이 매우 중요하며, 시신경 디스크에 인접하거나 걸쳐 있는 종양이나 3회 이상의 세션이 필요한 종양은 재발 가능성이 높을 수 있습니다.
경동공 온열치료의 부작용과 합병증
경동공 온열치료는 비교적 안전한 치료법이지만, 몇 가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합병증으로는 망막 혈관 폐쇄(23%), 망막 견인(20%), 망막 신생혈관화(6%), 망막 구멍과 망막 박리(1% 미만) 등이 있습니다. 특히 중심와 측두부에 위치한 종양은 망막 견인의 위험이 더 높고, 시신경 디스크 근처의 종양은 주요 망막 혈관 아케이드의 열 유발 폐쇄로 인해 망막 신생혈관화 발생률이 더 높습니다. 이러한 부작용은 주로 치료 부위에 국한되며, 원격 부작용은 거의 없습니다.
시력 보존과 장기적 예후
맥락막 흑색종에 대한 경동공 온열치료 후 시력 보존은 일반적으로 양호한 편입니다. 치료 후 50% 이상의 환자가 동일하거나 더 나은 시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이는 주로 종양의 위치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러나 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며, 국소 재발과 생명 예후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더 긴 관찰 기간이 필요합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경동공 온열치료 후 평균 22개월에 약 9%의 재발률을 보고하고 있으며, 재발한 종양의 경우 추가 온열치료, 방사선 치료 또는 안구적출술 등의 추가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맥락막 흑색종 치료에서 경동공 온열치료의 위치
경동공 온열치료는 맥락막 흑색종 치료의 여러 옵션 중 하나로, 특히 작은 크기의 종양에 효과적입니다. 이 치료법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방사선 치료와 병행하여 사용될 수 있습니다. 비록 최근에는 널리 사용되는 기술은 아니지만, 특정 의료기관에서 주로 안내종양을 대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안구적출술을 통해 비가역적으로 안구를 상실하기 전에 시도하는 보조치료로서 의미가 있습니다. 맥락막 흑색종의 관리는 종양 크기와 위치 등 여러 요소에 따라 달라지므로, 환자 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소암 유전성 위험과 한국인 BRCA 변이 특성 (0) | 2025.04.07 |
---|---|
메스꺼움과 구토 완화를 위한 효과적인 생활 관리법 (0) | 2025.04.07 |
호스피스·완화의료 간호 서비스 핵심 내용 (0) | 2025.04.07 |
비디오 흉강경 수술의 원리와 장점 (0) | 2025.04.07 |
호스피스·완화의료 사회복지 서비스 핵심 내용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