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정보

암 병기의 정의와 TNM 분류법

뭉치2020 2025. 2. 18. 16:18

암 병기의 정의와 TNM 분류법

암의 병기란 암이 얼마나 진행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단계로, 암의 치료 계획과 예후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병기는 주로 TNM 분류법을 사용하여 평가되며, 이를 통해 암의 크기와 퍼짐 정도를 체계적으로 분류합니다. 이 글에서는 암 병기의 정의와 TNM 분류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TNM 분류법이란?

TNM 분류법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암 병기 평가 방법입니다. 이 시스템은 세 가지 주요 요소를 기반으로 합니다.

  • T(Tumor): 원발 종양의 크기와 침윤 정도를 나타냅니다. T0는 종양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T1~T4는 종양의 크기와 주변 조직 침범 정도에 따라 점차 증가합니다.
  • N(Node): 림프절 전이 여부와 그 범위를 나타냅니다. N0는 림프절 전이가 없는 상태이며, N1~N3은 전이된 림프절의 수와 위치에 따라 구분됩니다.
  • M(Metastasis): 원격 장기로의 전이 여부를 나타냅니다. M0는 전이가 없는 경우, M1은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 세 가지 요소를 조합하여 암의 상태를 평가하고 병기를 결정합니다.

2. 병기의 단계

TNM 분류 결과를 바탕으로 암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4단계로 나뉩니다.

  • 1기: 원발 장기에 국한된 초기 단계로, 림프절이나 다른 장기로 퍼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조기 발견 시 치료 후 완치율이 높습니다.
  • 2기: 종양이 주변 조직으로 퍼지거나 일부 림프절에 영향을 미친 상태입니다.
  • 3기: 림프절 전이가 광범위하거나 종양이 더 깊은 조직을 침범한 상태입니다.
  • 4기: 원격 장기로 전이가 발생한 말기 상태로, 여러 치료에도 불구하고 진행 가능성이 높습니다.

병기는 암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세부적으로 달라질 수 있으며, 일부 암은 독립적인 병기 체계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3. 병기의 중요성

암 병기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중요합니다.

  • 치료 계획 수립: 병기에 따라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 화학요법 등의 적합한 치료 방법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 예후 예측: 병기가 낮을수록 완치 가능성이 높고, 생존율도 증가합니다.
  • 치료 효과 평가: 치료 후 병기의 변화를 통해 치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Q&A

Q: 모든 암에 TNM 분류법이 적용되나요?
A: 대부분의 암에서 TNM 분류법을 사용하지만, 뇌종양이나 백혈병처럼 특수한 경우에는 별도의 병기 체계를 사용합니다.
Q: 말기암(M1)에서도 치료가 가능한가요?
A: 말기암은 완치가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생명 연장과 증상 완화를 목표로 한 치료가 가능합니다.
Q: 조기암(1기)은 완치율이 높은가요?
A: 네, 조기에 발견된 암은 적절한 치료를 통해 완치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728x90